2009. 11. 『인문콘텐츠』16


GIS와 지역 문화 콘텐츠의 연계 응용 기술*1)


김  현,**1)임준근***1)

 Ⅰ. 지방 문화지 편찬에 있어서 지도 데이터의 역할


  어느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기술하는 저작물을 편찬할 때, 텍스트에 지도 자료를 첨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지역 문화 콘텐츠는 일정한 범위의 지리적 공간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공간적 개념들을 지리적 위치로 구체화하고, 그것을 지도 도면 상에서 찾을 수 있게 하는 것은 그 지식 정보의 공간성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게 함으로써 내용을 보다 충실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어느 고장의 자연마을을 소개하는 기사를 작성할 때 그 마을의 위치를 표시한 지도를 함께 제공하는 경우, 독자는 기사 텍스트가 미처 설명하지 못한 많은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도시의 중심에 인접하여 도시화의 영향을 받는 곳인지, 아니면 외떨어진 농촌 마을인지, 주변의 산과 하천은 그것이 예로부터 이 마을 사람들에게 어떠한 생업 환경을 만들어 주었을지를 짐작할 수 있고, 또 사우(祠宇)나 정려문(旌閭門 )같은 유적의 분포를 통해 그 마을의 문화적 배경을 엿볼 수도 있다. 공원이나 박물관, 기념비와 같은 시설물도 그것을 독립적인 사물로 취급할 때와 지리적 입지와 관련지어 살펴 볼 때 파악되는 의미의 깊이가 달라질 것이다.

  시지․군지 등 지역문화를 소재로 하는 저작물에서 지도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사실은 일반적으로 인식되어온 바이지만, 그것이 책자 형태로 간행되던 시절에는 텍스트와 지도 데이터를 연계시키는 편찬이 용이하지 않았다.  무엇보다도 지면의 제약 때문에 지리적 사항이 언급되는 곳에서 빠짐없이 지도를 보여 주는 따위의 일이 불가능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시군지에 담기던 내용을 전자 정보 시스템에 수록하는 디지털 향토지에서는 지리적 정보 표현의 새로운 지평을 열 수 있게 되었다.

  디지털 향토지에서 텍스트 내용과 관련된 지리적 정보를 ‘지도’라고 하는 시각적 데이터로 표현할 수 있게 된 것은 기본적으로 ‘지리 정보 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이라고 하는 전자적인 정보 처리 기술이 있기 때문이다. 수년 전까지만 해도 GIS의 응용 분야는 산업적 또는 행정관리적 수요가 있는 분야에 국한되어 있었다. 그러한 GIS 기술의 응용 폭이 획기적으로 넓어지게  된 계기는 GIS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결합한 전자적 항법장치(Electronic Navigation)의 대중화이다. 한국의 경우 승용차용 내비게이션 시장이 폭발적으로 증대되면서1) 전국을 커버하는 디지털 도로 교통지도가 생산․유통되게 되었고, 그 지도가 내비게이션 단말기 제조회사뿐 아니라 인터넷 포털 사업체에게까지 공급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정보 서비스에 쓰이게 되었다. 문화유적이나 학교, 병원, 공공기관, 유명음식점 등을 소개하는 안내 정보 서비스 기능이 GIS를 활용한 위치 정보 제공을 필수적으로 수반하게 된 것이다.

  2003년부터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수행해 온 전국적인 지방 문화 백과사전 편찬사업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은 이와 같은 GIS 기술 환경의 토대 위에서 지역 문화 콘텐츠를 지리 정보 시스템과 연계시키는 디지털 향토지의 새로운 모델을 정립하였다. 시․군 단위의 지역 문화를 백과사전 형태의 저작물에 수록하면서, 그 속에 담긴 모든 지리적 정보가 전자지도 상에서 표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과업은 ‘향토지 편찬과 지리정보 서비스의 접목’이라고 단순화시켜 말할 수 있지만, 그것을 실제로 구현해 내는 기술적 구도는 그만큼 단순하지 않다. 이 과업의 난제는 ‘향토지’와 ‘GIS'가 지금까지는 서로 무관하게 독립적인 영역에 속하는 일이었고, 그 때문에 양자를 접합시키는 종합적인 편찬 모델이 없었다는 점이다. 향토지의 기사 텍스트를 다루는 인문계 연구자는 GIS 기술을 이해하기 어려웠고, 지리정보 시스템을 다룰 수 있는 정보 처리 기술자는 텍스트 내용을 분석하는 데 미흡할 수 밖에 없다.  ‘향토지 편찬과 지리정보 서비스의 접목’은 이미 만들어진 기술의 활용에 머무는 일이 아니고, 그 ‘접목’을 위한 새로운 기술의 개발을 필요로 하는 일이다. 필자는 이글을 통해 과거 독립적이었던 두 영역 - 지방 문화지 편찬과 지리정보 시스템 - 을 소통시키는 매개적 방법을 모색하고, 이에 기반한 지방 문화지 편찬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 지리정보 기반의 지방 문화지 편찬 프레임워크


 1. 향토지와 전자지도 융합 프로세스


  지방 문화지를 편찬하는 과정에서 개별 기사의 성격에 적합한 지도 데이터를 일일이 새로 제작할 수 있다면 그것은 콘텐츠의 내용을 더욱 충실하게 하는 효과를 낳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시간과 비용면에서 감당하기 어려운 일이다. 반면 요즈음에는 제3자가 만든 고품질의 디지털 지도 데이터를 저렴한 비용으로 구매하거나 인터넷 상에서 무상으로 끌어 쓸 수 있는 것이 가능해졌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는 것이 투자 대비 효과 면에서 더 현명한 선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우리가 지향하는 것은 향토지 편찬과 무관하게 만들어진 지리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되, 그것이 디지털 향토지 콘텐츠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각각 독립적인 객체로 존재하는 특정 지역의 향토지와 그 지역의 전자지도를 하나의 콘텐츠로 융합하는 과업은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를 통해 구현된다.


  a. 향토지 텍스트와 연동시킬 전자지도 데이터(베이스 맵, Base Map)를 확보한다.

  b. 향토지 콘텐츠 속에서 지리적 성격을 갖는 부분(공간 정보, Spatial Information)을 적출하여 그것을 정보 요소화 한다.

  c. 공간 정보 요소를 종합적으로 정리한 목록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것을 약속된 형식의 저장 장치(공간 정보 등록부, Spatial Information Registry)에 적재한다 .

  d. 공간 정보 등록부 상의 공간 요소 각각에 대해 전자지도에 표시할 표시 위치와 표시 형태를 지정한다.

  e. 공간 정보 등록부를 매개로 향토지 텍스트와 전자지도가 연동하는 시스템을 구현한다.


  1) 베이스 맵의 확보


  특정 지역의 자연 지형 및 인공 시설물에 관한 정보를 가상 공간에 지도 형태로 표현한 전자지도는 전문적인 지도 제작자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지방 문화지의 전자지도 서비스는 이미 만들어져 있는 전자지도 상에 그 지역 문화와 관련된 정보를 부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미 만들어져 있는 전자지도를 '베이스 맵'이라고 부른다. 베이스 맵은 전자지도 제작 회사로부터 구매하거나 인터넷 포털 사업체에서 연계 서비스를 허용하는 온라인 전자지도 끌어 쓸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함으로써 확보한다.


  2) 지리적 요소(공간 정보 요소)에 대한 XML 태깅


  향토지 텍스트 속에서 지리적 성격을 갖는 부분, 다시 말해 지도 상에서 표시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 전자적인 식별 기호를 부가하는 작업이다.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편찬 사업에서는 이러한 정보를 <공간>이라는 이름의 XML 요소로 처리한다. 각각의 <공간> 요소는 ‘식별자’라고 하는 필수 속성을 갖는다. 식별자 속성 값은 향토지 텍스트 상의 공간 요소와 전자지도 상의 표시 위치를 연결하는 색인어의 역할을 한다.



[공간 요소 태깅 예시]

<공간 식별자=“남원:혼불문학관”>혼불문학관</공간>

<공간 식별자=“성남:이경석 묘”>이경석의 묘소</공간>


  3) 공간 정보 등록부


  위의 작업을 수행하고 나면 한 편의 향토지 텍스트 속에 무수한 공간 요소가 표시되게 된다.  향토지 본문 텍스트에서 이 공간 요소를 자동적으로 추출한 후 이것을 표준화된 형식의 전자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 데이터의 저장 장치를 ‘공간 정보 등록부’(Spatial Information Registry)라고 명명하였다.2)  이것은  텍스트 상의 공간 정보와 전자지도 상의 지리적 위치를 매칭시키는 매개적 장치의 역할을 한다.


  4) 공간 정보의 표시 위치 및 표시 형태 지정


  공간 정보 등록부에 등록된 개별 요소에 대해 그것이 전자 지도 상에 표시될 위치와 표시 형태를 지정하는 작업이다. 위치 표시는 해당 공간 정보의 경위도 좌표를 확보하기 위한 작업인데, ①확인된 좌표를 직접 입력하거나, ②주소 변환을 통해 생성하거나, ③응용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전자지도 상에서 표시를 함으로써 생성하는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한다. 표시 형태는 해당 공간 정보가 전자 지도 상에서 표현되는 모양을 말한다. 점(특정 지점), 선(이동 경로 등), 면(일정 영역) 등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은 ‘공간 정보 등록부 관리기’라고 하는 응용 프로그램 상에서 수행하게 된다. 이 프로그램은 지리적 위치를 베이스 맵 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기능, 행정 주소를 경위도 좌표로 변환할 수 있는 기능 등을 제공함으로써 공간 정보의 신규 등록과 기등록 정보의 수정을 용이하게 한다.


<그림 ?> 공간 정보 등록부 관리기


  5) 공간 정보 등록부를 매개로 한 텍스트와 전자지도의 연동


  공간 정보 등록부의 데이터가 만들어지면 향토지 텍스트와 전자지도의 연동에 필요한 편찬 작업이 모두 완료되는 셈이다. 이 등록부를 매개로 하여 텍스트와 전자지도를 연동하는 기능은 등록부의 데이터 구조를 반영하여 개발된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자동적으로 구현된다.


<그림 ?> 텍스트-공간 정보 등록부-베이스 맵 연동 구조


  2.. 공간 정보 등록부의 구조


  공간 정보 등록부는 구조, 성격, 활용 면에서 각각 독립적 영역을 가진  향토지 텍스트와 전자지도가 상호 연동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연결고리이다. 그렇게 때문에 이 상호 연동의 시너지 효과는 전적으로 공간정보 등록부 구조의 합리성과 그 안에 담기는 데이터의 충실성에 의존한다고 할 수 있다. 「향토문화전자대전」의 전자지도 서비스 기능 구현을 위한 공간 정보 등록부는 다음과 같은 구조로 설계되었으다.3)



<그림 ?> 공간 정보 등록부(v. 1.0)의 구조


 ① Spatial Object ID: 콘텐트 개발자에 이해 승인된 공간 객체의 고유한 이름. 중복을 피하기 위해 지역 이름과 객체 이름을 : 기호로 연결하여 사용한다.

    ※ 성남:이경석 묘, 강릉:경포대, 남원:혼불문학관

 ② Object Type: 해당 공간 객체의 유형을 표시한다. 유적지, 자연지형, 행정구역, 시설물, 기관 등

 ③ Display Type: 해당 공간 정보 객체가 특정 지물의 소재지(P)인지 일정 범위의 영역(A)인지 동적경로(L)인지 등을 표시한다.

 ④ Time Limit: 해당 공간 정보 객체가 유효성을 갖는 시간적 범위에 대한 기술. 이 항목의 데이터는 시간 정보 등록부에 등록된 ‘시간 정보 객체 식별자’4)를 가지고 기술한다.

 ⑤ Description: 해당 객체에 대한 주석. 행정 주소가 있는 경우 이곳에 기술한다. 전자지도 오브젝트 작도를 위한 지침을 포함할 수 있다.

 ⑥ Positioning Instruction: 해당 공간 정보 객체를 전자지도상에 표시하기 위한 정보. GML5)로 점(Point), 선(LineString), 면(Polygon) 3개 유형의 위치 표시 정보를 기술한다.

Related Object: : 해당 객체와 관련 있는 다른 객체의 식별자

 ⑧ Relation: 동치(同値, EQ), 귀속(歸屬, BT), 교섭(交涉, PE) 등 해당 객체와 관련 객체 사이의 관계.

    ※ 성남:망경대 BT 성남:청계산



  Ⅲ. 전자지도 서비스의 기능 제고 방안


  「향토문화전자대전」의 성남시편인 「디지털성남문화대전」의 구현(2004년) 이후 약 5년 동안 다른 30개 시군의 디지털 향토지가 편찬되면서 「향토문화전자대전」의 정보 서비스 기능이 다른 디지털 콘텐츠의 발전 추세에 발맞추어 좀 더 고도화 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현재까지의 전자지도 서비스는 기사 텍스트와 관련이 있는 지점의 지리적 위치를 지도 상에 표시해 주는 역할에 머물렀다. 이러한 기본적인 기능을 넘어서서 ‘그 장소에 대한 이용자의 이해와 관심을 고양시키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새로운 요구사항으로 부상한 것이다. 「향토문화전자대전」 의 이용 고객 사이에서 이러한 요구가 있게 된 것은 GoogleTM, 네이버TM, 다음TM 등의 인터넷 포털이 제공하는 지도 기반 콘텐츠 서비스가 네티즌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모은 현상에 기인한다. 인터넷 상의 고기능 지도 서비스는 네티즌들로 하여금 ‘전자지도를 통한 가상의 문화여행’의 가능성을 엿보게 하였고, 「향토문화전자대전」의 디지털 콘텐츠도 그러한 수준으로 발전해 갈 것을 요구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수요에 입각하여  필자는 전자지도 서비스의 기능 개선 방향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전자지도 서비스는 단순히 관심 지점의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해 주는 기능에서 머물지 않고, 이용자가 그 지리적 요소에 대한 장소감(Sense of Place)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수준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① 기존의 교통지도뿐 아니라 위성사진 등 실사 데이터를 활용하고, 관심 지점의 지리적 특성을 잘 파악할 수 있는 입체적 시각을 제공한다.

 ② 관심 지점의 성격을 반영한 특수지도(관광안내도, 행정도, 고지도)를 전자지도와 연계하여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

 ③ 관심 지점의 주변 환경이나 세부 디테일을 보여 줄 수 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Surround VR, Motion Picture, Still Image]를 전자지도 상에서 직접 열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가운데 ①은 세계적으로 이용고객이 폭발적으로 증대되고 있는 GoogleTM의 위성지도를 「향토문화전자대전」 전자지도 서비스의 베이스 맵으로 활용한다는 전제에서 만들어진 제안이다.

  「향토문화전자대전」 전자지도 서비스의 베이스 맵은 입수가 용이하였던 자동차용 네비게이션 지도에서 출발하였다. 이 지도는 제작 목적에 맞게 전국 각 지역의 도로망과 행정구역 정보, 랜드마크가 될 만한 지형 지물의 정보를 상세하게 담고 있어서 관심 지점의 위치와 접근방법을 알려 주는 데는 유용성이 있는 지도이다. 그러나 가장 아쉬운 점은 등고선 표시 등 해당 지역의 자연 지형을 짐작할 수 있게 하는 정보가 없다는 것이다. 자연 지형에 대한 정보는 문화지도 베이스 맵의 필수 요소이다. 예를 들어 문화유적지로 분류되는 옛 인물의 묘소 하나만 보더라도, 그것의 위치가 정해진 배경에는 산세, 전망, 물의 흐름 등 풍수지리적 요소가 중요하게 자리한다. 도로교통지도를 통해서는 그 무덤이 왜 그곳에 자리잡게 되었는지를 가늠할 수 없다.

  이러한 식의 문화적 지식 수요에까지 대응하는 전자지도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고도 정보를 포함하는 정밀한 지형도와 위성 사진을 합성한 하이브리드 지도를 베이스 맵으로 사용하고, 그 위에 문화적 관심 지점의 위치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아직 그러한 환경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Google EarthTM는 차선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아래의 화면 [a]는 「디지털성남문화대전」에 실린 유적지 1곳을 기존의 도로교통지도 상에 표시한 것이고, 화면 [b]는 동일 지점에 대해 베이스 맵을 Google EarthTM 지도로 대체하여 표현한 것이다.


[a]


[b]


  제안 사항 ②는 지도의 성격을 지닌 그래픽 이미지를 전자지도의 일부로 활용함으로서 관심 지점에 대한 이용자의 이해를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의 멀티미디어 자료 가운데에는  행정구역도, 문화유적분포도, 관광안내도 등의 특수목적 지도, 고문헌에서 발굴한 옛 지도, 텍스트의 내용과 관련하여 새로 제작한 지도 형태의 이미지 자료가 다수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자료들을 독립적인 화상 자료로만 제공한다면 지도로서의 의미가 희석되지만, 도면상의 관심 지점 연계를 통하여 지리 정보 시스템의 일부가 되게 하면 지리 자료로서의 가치뿐 콘텐츠 전체의 의미 전달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제안 사항 ③은 현재 텍스트의 매개를 통해서만 연계되는 관심 지점의 동영상, 정지화상, 그래픽 애니메이션을 전자지도 상에서 바로 볼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에 수록된 지역당 2,000~4,000 종의 멀티미디어 자료 중 70% 이상이 편찬 기간 동안 신규로 제작되는 것들이다.  실사 사진이나 동영상은 촬영 시점에 그곳의 위치정보(경위도 좌표)를 함께 생산할 수 있다. 수집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분류할 때 각각의 영상 자료에 ‘공간 객체 식별자’를 부여하거나 데이터 파일에 수록된 촬영지의 경위도 좌표를 분석함으로써 전자지도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연계 정보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자지도 상에서 열람할 수 있게 하면, 이 때의 전자지도는 단순히 관심 지점의 위치 정보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이용자로 하여금 마치 그 장소를 직접 방문하는 듯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표 ?> 2008년 말까지 개발 완료된 지역 향토문화전자대전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규모

구   분

음성

공주

울진

여수

양산

향산

부천

충주

논산

항목수 

2,221

2,042

1,803

1,915

2,018

1,694

1,803

2,627

2,065

원고매수(200자 원고지)

15,545

17,140

13,514

15,477

15,375

8,117

13,459

21,629

17,193

사진(매) 

2,519

2,755

4,587

1,974

2,999

1,553

2,688

4,803

4,110

동영상, 음향, VR, 애니메이션(종)

333

118

215

145

106

190

281

379

142

지도, 도면

138

162

180

80

222

94

25

106

100

도표 

499

173

227

289

225

-

108

56

140

전자지도 표시 항목

927

930

824

760

948

76

813

1,124

1,001

전자연표 표시 항목

937

945

599

795

940

389

950

1,535

931

구   분

성남

청주

강릉

진도

진주

남원

제주시

울릉

용인

항목수 

2,527

2,554

3,130

1,996

2,609

2,160

3,310

1,523

2,553

원고매수(200자 원고지)

18,537

18,953

20,980

13,432

18,842

15,930

27,932

8,918

18,423

사진(매) 

1,931

2,953

3,071

1,883

1,658

2,419

4,333

1,971

2,159

동영상, 음향, VR, 애니메이션(종)

278

398

166

373

170

94

136

139

158

지도, 도면

147

254

143

88

203

190

210

63

269

도표 

405

351

407

643

313

282

453

241

199

전자지도 표시 항목

1046

840

1,271

549

837

1,004

1,129

363

1,261

전자연표 표시 항목

1,531

1,542

1,328

602

1,216

1,025

1,663

345

1,696



  Ⅳ. 지역 문화 GIS의 기능 제고를 위한 데이터 모델 설계


 1. 공간 정보 등록부의 확장 모델 설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전자지도 서비스의 기능 개선 요구 사항을 실제 시스템 상에서 구현하기 위해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 모델을 다음과 같이 설계하였다.



<그림 ?> 공간 정보 등록부(v. 2.0)의 자료 구조


  공간정보 등록부 데이터베이스는 관계형 모델의 5종의 엔티티(Entity)로 구성되며,  각각의 엔티티는 Spatial Object ID를 키로 하여 상호 결합한다. 5종 엔티티에 속하는 어트리뷰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 가운데 기존의 공간정보 등록부(v. 1.0)에서 새로 추가된 것 또는 기능을 새롭게 정의한 것은 ‘[신규]’ 또는 ‘[조정]’으로 표시하고 설명을 부기하였다.6)


  1) 공간 객체 기본 속성 정보


① 

Spacial Object ID

② 

Object Name

③ 

Display Name

④ 

Locale

 

⑤ 

Location

 

⑥ 

Object Type

⑦ Description

 

History

 

nvarchar

nvarchar

xml

nvarchar

xml

xml

nvarchar

xml

공간 객체 식별자

공간 객체의 명칭

도면 상에 표시할 명칭

공간 객체가 속하는 영역

행정지명

공간 객체의 유형 분류

공간 객체에 대한 주석

객체 등록 관리 정보


 ① Spatial Object ID: [조정] 콘텐트 개발자에 이해 승인된 공간 객체의 고유한 이름. 지역 이름과 객체 이름을 : 기호로 연결하여 사용하되, 중복 가능성이 있는 경우 객체 이름을 조정하거나 일련번호를 첨가할 수 있다.

 ② Object Name: [신규] 공간정보 객체의 원래 이름. ※ 기관의 공식 명칭, 문화재의 등록 명칭 등 축약하지 않은 원래의 이름을 표시한다.

 ③ Display Name: [신규] 전자지도 도명 상에 표시할 명칭. 긴 이름을 축약하여 표시할 때, 또는 공간 객체를 외국어로 표시할 때 사용한다. XML 문으로 기술하며 다음과 같은 하위 요소를 사용한다.

        <한글/>

        <영문/>

        <중문/>

        <일문/>

 ④ Locale: [신규] 지역별 또는 프로젝트별도 생산된 다종의 전자지도를 하나로 통합 운영할 경우에 대비하여 공간 객체 정보 생산 당시의 모집단 영역을 기록한다.

 ⑤ Location: [신규] 공간 정보의 지리적 위치를 행정지명으로 표시한다. XML 문으로 기술하며 다음과 같은 요소를 사용한다.

        <시/> ... 시․군 이름

        <구/> ... 구․읍․면 이름

        <동/> ... 법정동․법정리 이름

        <우편번호>

        <상세주소>

 ⑥ Object Type: [조정] 해당 공간 객체의 유형 분류. 다중 분류가 가능하도록 XML 문으로 기술한다.

        <유형/> .... 2단계 분류 코드를 요소 값으로 한다.7)

 ⑦ Description: [조정] 해당 객체에 대한 주석

 ⑧ History: [신규] 등록된 공간 객체의 관리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기술한다. XML 문으로 기술하며 다음과 같은 하위 요소를 사용한다. <이력> 요소는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력>

                <작업유형/> .... 신규등록, 위치지정, 위치변경, 분류변경 등

                <작성자/>

                <작성일/>

                <작성내용/>

        </이력>


  2) 위치 표시 정보


 

Spacial Object ID

 

Display Type

 

Icon URN

 

Positioning Insturction

Viewing Instruction

 

nvarchar

char

nvarchar

xml

xml

공간 객체 식별자

 

공간 객체 표시 형태

위치 표시 아이콘의 주소

공간 객체 위치 표시 지시

관찰자 위치 표시 지시


 ① Display Type: 해당 공간 정보 객체가 특정 지물의 소재지(P)인지 일정 범위의 영역(A)인지 동적 경로(L)인지 등을 표시한다.

 ② Icon URN: [신규] 해당 공간 정보 객체의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할 때 사용할 I아이콘의 주소. 시각 자료 정보 DB와의 연계를 통해 이미지 썸네일을 사용할 수 있다.

 ③ Positioning Instruction: 해당 공간 정보 객체를 전자지도상에 표시하기 위한 정보. 객체 유형에 따라 <Position>, <LineString>, <Polygon> 3 요소 중 하나를 사용한다.

 ④ Viewing Instruction: [신규] 관심지점의 지리적 환경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관찰자의 시점을 지정한다. GoogleTM의 KML8)에서 사용하는 요소들을 차용하여 기술한다.

       <range>: 관심지점과 관찰자 사이의 거리. 미터(m) 값으로 표시

        <tilt>: 관심지점을 내려다보는 각도

        <heading>: 관심지점을 바라보는 방향의 각도

   ※ 묘소, 사찰, 누정 등 입지를 중요시하는 공간 객체에 대해 주변 지형을 파악하기 좋은 시점을 이용자에게 권장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3) 참고지도 연계 정보 및 참고지도 정보


 

Spatial Object ID

Reference Map ID

Position

 

nvarchar

int

xml

공간 객체 식별자

참고지도 고유번호

표시 위치

 

Reference Map ID

Title

 

Role Type

 

Map URN

 

Source

 

Time Limit

 

Description

 

int

nvarchar

char

nvarchar

nvarchar

nvarchar

nvarchar

참고지도 고유번호

참고지도 이름

참고지도의 용도

참고지도 소재 경로

참고지도 출처

참고지도의 유효 시간대

부가 설명


Reference Map ID: [신규] 전자지도와 연계하여 제공하는 참고지도의 고유번호

Position: [신규] 참고지도 상에서의 위치 표시 방법. 백터 지도 상에서 표현방법과 마찬가지로 <Point>, <LineString>, <Poligon> 등 3개 요소를 사용하되, 경위도 좌표 대신 참고지도 파일의 좌상단을 기준으로 한 x, y 좌표를 픽셀 값으로 표시한다. 위치표시 없이 참고지도만을 보여주고자 할 때에는 기술하지 않는다.

Title: [신규] 참고지도의 이름을 기술한다. 기사 텍스트에서 전자지도의 매개 없이 특정 참고지도만을 링크하고자 할 때에는 식별자로 사용할 수 있다.

    ※ <공간 식별자="남원:혼불문학관" 참고="서도리 노봉마을 마을지도">

Role Type: [신규] 전자지도와 연계하여 제공하는 참고지도의 용도를 표시한다. 「한국항토문화전자대전」에서 주로 사용된 특수목적지도를 위주로 분류 코드를 정하였다.

  - T: 관광안내지도, 그래픽 형태의 지형도

  - A: 행정구역도, 도시개발계획도 등

  - E: 생태분포토

  - H: 유물유적 분포도 및 위치도

  - C: 선사유물 및 고건축물의 배치도

  - V: 마을지 제작을 위한 마을 지도

  - O: 고지도

Map URN: [신규] 참고지도 데이터 파일의 소재 경로와 파일 이름

Source: [신규] 참고지도의 출처

Time Limit: [조정] 참고지도의 유효 시간대를 한정한다. 고지도나 행정구역도 등이 어느 시기의 것인지를 알려 주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시간정보 등록부에 등록된 ‘시간 객체 식별자’를 사용하여 기술함으로써 전자연표 서비스와 연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참고지도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


  3) 시소러스


Spatial Object ID

Related Object ID

Relation

nvarchar

nvarchar

char

공간 객체 식별자

관련 공간 객체

관련성


 ① Related Object: : 해당 객체와 관련 있는 다른 객체의 식별자

 ② Relation: 공간 객체 사이의 관련성. 동치(同値, EQ), 귀속(歸屬, BT), 교섭(交涉, PE) 등.


  2. 전자지도와 시청각 자료 정보의 연계 모델 설계


  전자지도의 관심지점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바로 연결하여 함께 열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시청각 자료의 속성 정보 속에 관련 위치 정보를 부가하여야 한다.  시청각 자료의 관련 위치는 공간 객체 식별자(Spatial Object ID) 외에 시청각 데이터 파일에서 추출한 촬영지의 경위도 좌표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이용하면 해당 사진 자료가 관심지점을 어느 위치에서 촬영한 것인지를 알려 주는 정보도 전자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림 ?> 시청각 자료 정보 엔티티의 자료 구조


  공간 정보 등록부와 시청각 자료 정보의 자료 구조를 위와 같이 구현하면 공간 정보 등록부를 매개로한 텍스트 - 전자지도 - 시청각자료의 상호 연계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다음 그림은 그와 같은 연계 서비스를 도시한 것이다.



<그림 ?> 텍스트-전자지도-시청각자료의 상호 연계 서비스



 Ⅴ. 전자지도 Open API를 활용한 문화지도의 구현


 1. 디지털 문화지도 구현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Open API


  공간 정보 등록부의 틀이 마련되고, 이 안에 관심 지점(POI, Point of Interest)의 데이터가 축적되었다면, 전자문화지도의 구현을 위한 마지막 단계의 작업은 등록부 상의 POI를 용도에 맞게 기반 지도(Base Map) 상에 표시하는 일이다. 이 때 필요한 기반 지도는 콘텐츠 제작자가 직접 확보할 필요가 없다. Google, 네이버, 다음 등 국내외의 대형 인터넷 포털이 제공하는 전자지도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활용하면, 별도의 비용 지출 없이 자체적인 지도 서비스 이상의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한 지역의 문화 자원을 수록한 전자문화지도의 제작을 위해 쉽게 활용할 수 있Open API 기반의 전자지도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디지털 지역 문화지도 구현을 위해 활용 가능한 Open API 기반 전자지도

<표 1)> 대표적인 Open API 기반 전자지도

전자지도

특  징

Google Earth

- 전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위성사진 중심의 전자지도

- 표준화된 KML 파일 형식 기반으로 지도 위에 아이콘, 레이블, 통계정보 등 다양한 콘텐츠 표시 가능

- AJAX1) 기반 전자지도와 비교하여 대량의 정보 표시 가능

- 독립실행형 프로그램에서는 시간 정보를 이용한 애니메이션 가능

- 웹을 통해 서비스할 수 있도록 ActiveX 기반 컨트롤 제공

Google Maps

- 전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위성사진 중심의 전자지도

- AJAX, 플래시 기반 API 제공

- 미국, 일본 등 몇몇 국가의 공간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대한민국의 공간정보는 국내 Open API 지도에 비하여 현저히 부족

Naver Map

- AJAX, 플래시 기반 API 제공

- 1m 해상도를 가지는 전국 위성사진 서비스 제공

- 수치지도, 위성사진, 겹쳐보기 기능 제공

- 지도 위에 점, 선, 다각형 형태의 공간요소 및 레이블 표시 가능

- 주소 좌표 변환(GeoCode) 기능 제공

- TM, WGS84 간의 좌표계 변환(TransCoord) 기능 제공2)

Daum Map

- AJAX 기반 API 제공

- 50cm 해상도를 가지는 전국 항공사진 서비스 제공

- 지도 위에 점, 선, 다각형 형태의 공간요소 및 레이블 표시 가능

- 주소 좌표 변환(GeoCode) 기능 제공

- TM, KTM, UTM, CONGNAMUL, WGS84, BESSEL, WTM, WKTM, WUTM, WCONGNAMUL 간의 좌표계 변환(TransCoord) 기능 제공


  2. 지역 문화 콘텐츠의 전자지도 서비스 구현 형태


  Open API라고 하는 것은 특정 디지털 자원을 외부의 프로그램이 자유롭게 불러 쓸 수 있는 개방적인 통로라고 할 수 있다. 이 자원을 활용하는 방법은 표준화된 기술에 따라 여러 가지 단위 기능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그 가운데 어떠한 것을 어느 시점에 불러서 사용할 것인가는 이용자의 서비스 목적과 의도에 따라 달라진다.

  지역 문화 콘텐츠의 전자지도 서비스를 위한 Open API 활용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첫 번째는 가장 단순한 서비스 형태로서 하나의 관심 지점을 전자지도 상에 표시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하나의 관심 지점이 정해졌을 때 그것과 그 주변의 관심 지점들을 함께 지도 위에 표시하는 것이다.


1) 단일 관심 지점 위치 표시


  지도 위에 하나의 관심 지점만을 표시하여 해당 관심 지점의 정확한 위치와 주변 지리정보를 파악하는 데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 적합한 서비스 형태이다.


<그림 1)> 단일 관심지점 위치 표시

  


  단일 관심 지점의 위치 표시 서비스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구현될 수 있다.


  a. 콘텐츠 상의 공간 정보 선택

  b. 공간 정보 등록부를 참조하여 선택 지점의 속성 정보(위치 좌표 등) 확보

  c. 전자지도 API를 호출하여 지도 초기화

  d. 전자지도 API를 호출하여 해당 위치에 관심 지점 표시


2) 영역 내 관심 지점 위치 표시


  특정 관심 지점을 지정하거나 일정한 범위의 지역을 선택했을 때 그 주변 또는 영역 내의 공간 요소들을 같은 지도 도면 위에 표시함으로써 공간 요소들 사이의 지리적 연관 관계를 확인하는데 적합한 서비스 형태이다.

 

<그림 2)> 영역 내 관심지점 표시

    

  영역 내의 복수 개의 관심 지점 위치 표시 서비스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구현될 수 있다.


  a. 콘텐츠 상의 공간 정보 선택 (단일 지점 또는 지역 범위 지정)

  b. 공간 정보 등록부를 참조하여 선택 지점의 속성 정보(위치 좌표 등) 확보

  c. 전자지도 API를 호출하여 지도 초기화

  d. 전자지도 API를 호출하여 지도의 중심을 관심 지점으로 이동

  e. 전자지도 API를 호출하여 지도에 표시되는 영역 정보 획득9)

  f. 획득된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공간 정보 등록부 상에서 해당 영역 내의 공간 정보를 검색하고 이를 목록화10)

  g. 생성된 목록를 기반으로 전자지도 API를 호출하여 지도상에 여러 개의 관심 지점을 표시


  위에서 제시한 두 가지 서비스 형태 중 실제의 전자지도 서비스에서 많이 쓰이는 후자(영역 내 여러 개의 관심 지점 표시)의 구현 프로세스를 그림으로 도시하면 다음과 같다.


   

<그림 3)> 전자지도 API 활용 콘텐츠 서비스 프로세스


  위의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전자지도 서비스는 ‘공간정보 등록부 참조’와 ‘전자지도 API 호출’이라고 하는 두 종류의 액션이 이루어내는 프로세스이다. 전자지도 API는 이용자가 어떤 조건을 제시할 때 비로소 그에 상응하는 지도를 제공해 주는 장치이고, 그 조건에 해당하는 것을 저장하고 있는 곳이 바로 ‘공간 정보 등록부’이기 때문이다.


3. 전자지도 Open API 활용 프로그램 구현 사례


  전자문화지도의 구현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베이스 맵으로는 Google Earth, Google Maps, 네이버 지도, 다음 지도 등 어느 것이나 활용 가능하다. 공간 정보 등록부에 등재된 정보를 각각의 전자지도가 제시하는 규약에 따라 해당 지도의 API를 호출하면 되기 때문이다. 각각의 API는 프로세스 운용 면에서 대동소이하므로 지도의 품질이나 어느 지도가 자신이 의도하는 서비스의 성격에 부합하는지를 기준으로 대상 지도를 선택하면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두 개 이상의 베이스맵을 운용할 수도 있다.  아래의 예시는 앞에서 살펴 본 ‘영역 내 관심 지점 위치 표시’ 를 Google Maps API 및 네이버 플래시 지도 API 를 사용하여 구현한 사례이다.11)


1) Google MapsTM API 사용


<표 2)> Google Maps API를 활용한 전자지도 서비스 구현

코  드

단  계

이용자가 콘텐츠 내에서 관심지점 선택

a. 관심지점 선택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www.google.com/jsapi?key=ABCDEFG"></script>

지도 API 초기화

// AJAX 기반 요청 객체 초기화

var oXmlHttp = new XMLHttpRequest();

// '논산:강경포구'를 식별자로 공간정보 등록부에 공간 정보 요청

oXmlHttp.open("get", "GetPOI.jsp?id=논산:강경포구", true);

b. 공간정보 등록부에 관심지점의 정보 질의

google.load("maps", "2");

function init() {

  var map = new google.maps.Map2(document.getElementById("map");

  map.setCenter(new google.maps.LatLng(37.39351, 127.0538), 13);

}

google.setOnLoadCallback(init);

c. 지도 초기화

// 서버에서 응답이 왔을 경우 처리할 콜백 함수 등록

oXmlHttp.onreadystatechange = function() {

  if (oXmlHttp.readyState == 4) {

    // 응답 결과로 반환된 XML 데이터를 파싱하여 poi 라는 객체로 초기화했다고 가정

    // API를 호출하여 지도의 중심을 '논산:강경포구' 위치로 이동

    map.setCenter(new google.maps.LatLng(poi.y, poi.x), 13);

  }

}

d. 지도 중심을 관심지점으로 이동

// API를 호출하여 현재 지도에 표시된 영역 정보 획득

var oBounds = map.getBounds();

e. 지도 표시 영역 획득

// 획득한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공간정보 등록부에 영역 내 관심지점 목록 요청

oXmlHttp.open("get", "GetPOIList.jsp?x1=126.9864&y1=36.17209&x2=127.0242&y2=36.14147", true);

f. 영역 내 관심지점 목록 획득

// 서버에서 응답이 왔을 경우 처리할 콜백 함수 등록

oXmlHttp.onreadystatechange = function() {

  if (oXmlHttp.readyState == 4) {

    // 응답 결과로 반환된 XML 데이터를 파싱하여 poiList 라는 객체 배열로 초기화했다고 가정

    for (i = 0; I < poiList.length; I++) {

      // 마커 위치 지정

      var latlng = new GLatLng(poiList[i].y, poiList[i].x);

      // 지도에 마커 추가

      map.addOverlay(new GMarker(latlng));

    }

  }

}

g. 지도에 관심지점 목록 표시


  2) 네이버TM 플래시 지도 API 사용12)


<표 3)> 네이버 플래시 지도 API를 활용한 전자지도 서비스 구현

코  드

단  계

이용자가 콘텐츠 내에서 관심지점 선택 또는 메뉴를 이용하여 관심영역 선택

a. 관심지점 또는 관심영역 선택

private var map:NMap;

// 등록된 키와 지도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지도 초기화

map = new NMap(this, "APIKey", 800, 600);

지도 API 초기화

var loader:URLLoader = new URLLoader();

loader.dataFormat = URLLoaderDataFormat.TEXT;

// 요청 결과가 반환되었을 때 처리할 핸들러 등록

loader.addEventListener(Event.COMPLETE, GetPOIHandler);

loader.load(new URLRequest("GetPOI.jsp"?id=논산:강경포구"));

b. 공간정보 등록부에 관심지점의 정보 질의

// 지도에서 사용할 좌표체계 지정

map.coordType = NCoordType.WGS84;

// 지도 초기화 이벤트 핸들러 등록

map.addEventListener(NMapEvent.INIT, onMapInitHandler);

 

// 지도 초기화 이벤트 핸들러

private function onMapInitHandler(event:NMapEvent):void

{

  map.setCenterAndZoom(new NLatLng(37.39351, 127.0538), 7);

}

c. 지도 초기화

// 서버에서 응답이 왔을 경우 처리하는 함수

private function GetPOIHandler(event:Event):void

{

  // 응답 결과로 반환된 XML 데이터를 파싱하여 poi 라는 객체로 초기화했다고 가정

  map.setCenterAndZoom(new NLatLng(poi.y, poi.x), 7);

}

d. 지도 중심을 관심지점으로 이동

// API를 호출하여 현재 지도에 표시된 영역 정보 획득

private var oBounds:Array = map.getBound();

e. 지도 표시 영역 획득

// 요청 결과가 왔을 때 처리할 핸들러 등록

loader.addEventListener(Event.COMPLETE, GetPOIListHandler);

loader.load(new URLRequest("GetPOIList.jsp?x1=126.9864&y1=36.17209&x2=127.0242&y2=36.14147"));

f. 영역 내 관심지점 목록 획득

// 서버에서 응답이 왔을 경우 처리하는 함수

private function GetPOIHandler(event:Event):void

{

  // 응답 결과로 반환된 XML 데이터를 파싱하여 poiList 라는 객체 배열로 초기화했다고 가정

  for (i = 0; I < poiList.length; I++) {

    // 마커 속성 지정

    var markParams:NMarkParams = new NMarkParams();

    // 지도의 관심지점에 표시할 레이블 지정

    markParams.label = poiList.label;

    // 위치와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마커 생성

    var merker:NMark = new NMark(new NLatLng(poiList[i].y, poiList[i].x), markParams);

    // 지도에 마커 추가

    map.addOverlay(marker);

  }

}

g. 지도에 관심지점 목록 표시


  Ⅵ. 맺음말


  온라인 디지털 콘텐츠 제작 분야에서 가장 주목받는 트렌드는 가상현실(Virtual Reality) 기능의 확대이다. 이는 컴퓨터의 멀티미디어적 기능을 단순히 여러 가지 매체의 자료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데 머물게 하지 않고, 그것을 일체화시켜서 마치 그 사물이 있고, 그 사건이 벌어지는 현장에 와 있는 듯한, 이른 바 현장감 있는 체험을 제공하는 기능이다. 디지털 콘텐츠 형태로 편찬되는 지방 문화지도 그와 같은 트랜드를 좇아 발전해 갈 것으로 예상된다. 독자들로 하여금 어느 고장의 특별한 지점을 직접 돌아보는 듯한 현장감을 주면서 관련된 지식을 얻게 하는 일종의 ‘가상 여행 시스템’은 디지털 지방 문화지 편찬이 지향하는 궁극의 형태라고 할 수 있다.13)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와 결합한 디지털 지도는 지방 문화지의 영역에서 구현되는 가상현실 기능의 중심 요소가 될 것이다. 이러한 기대의 실현 가능성을 반증하는 것은 Google EarthTM와 같은 3차원 지리 정보 시스템의 비약적인 성장세이다. 아직까지는 세계의 일부 지역에 대해서만 고해상도 3D 지도를 제공하지만 머지않은 장래에 우리나라의 시골 마을의 성황당도 그것을 통해 내려다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더구나 인터넷 포털의 독특한 비즈니스 논리에 의해 그 방대한 콘텐츠가 누구나 이용할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는 사실은 그 활용을 외면할 수 없는 매력이 아닐 수 없다.

  필자는 이 논문을 통해 Google EarthTM 나 네이버TM 지도와 같은 개방적 GIS 환경에 지역 문화 연구자들이 수집․생산한 멀티미디어 자료와 텍스트를 효과적으로 접목할 수 있는 기술적 방법을 모색하였다. 이것은 일차적으로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편찬 사업에서의 활용을 목적으로 한 것이지만 인문 지리 분야의 다른 연구 편찬 사업에서도 유용하게 준용할 수 있는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참고문헌


강용진, 「전자지도 기반의 로컬 블로그 시스템의 구현」, 한국항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고양욱, 「GIS를 이용한 관광네트워크 구축 -제주도를 사례로-」,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국토지리정보원, 『수치지도 Ver 2.0의 지형․지물 속성 작성 목록』, 2005.

권순회,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Dataset 구현 방향」,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문학연구소, 『민족문화연구』, 제38호, 2003, p.1-32

김계현, 『공간분석』, 두양사, 2004.

김동훈, 「전자문화지도를 활용한 지식정보서비스 연구: 조선족문화지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김종혁, 「디지털시대 인문학의 새 방법론으로서의 전자문화지도」, 『국학연구』 제12호, 2008.

김종혁, 「조선시대 역사지리정보의 전자지도화와 의의」,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정기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4.

김종혁, 「한국 지명데이터베이스의 구조분석과 발전방향」, 『한국지도학회지』 제6(1)호,  2006.

김  현, 「電子文化地圖 開發을 위한 情報編纂技術」, 『인문콘텐츠』 제4호, 2004.

김  현, 「디지털 향토지 콘텐츠 접근 방법의 설계와 구현」, 『지역문화와 디지털 콘텐츠』, 북코리아, 2007.

김  현, 「지리정보 시스템과 지역 문화 지식 자원의 연계 응용 기술」, 『세계한국학대회 발표논문집』, 2008.

오창훈, 『오픈 API를 활용한 매쉬업 가이드』, 에이콘, 2009.

이희연, 『GIS: 지리정보학』, 법문사, 2003.

장윤섭․오재홍․김경옥, 「지리공간 웹 기술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2(3)호, 2007.

진성주,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전자지도의 위치정보 표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한국문화정책개발원, 『한국의 문화관광지도 작성 연구』, 1998.

한국지역정보학회, 「지역 역사문화자원의 지식정보화 구현방안 연구」,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제4(1)호, 2001.

허용호, 「전자문화지도 연구에서 민속 데이터베이스의 구축과 활용」, 『비교민속학』 제31호, 2005.


Couclelis, H., Space, time, geography. In Longley, P. A. et al. (ed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Principles, Technical, Management and Applications(2nd. ed.), John Wiley & Sons, Inc., 1999.

Dragićević, S., The potential of Web-based GIS, Journal of Geographical Systems, Vol. 6(2), 2004, p79-81

Johnson, I., Integrating Databases with Maps: The Delivery of Cultural Data through TimeMap [microform], Educational Resources Information Center, 2004.

Lancaster, L. R., D. Bodenhamer, 2002, The Electronic Cultural Atlas Initiative and the North American Religion Atlas. In Past Time, Past Place: GIS for History, edited by Anne Kelly Knowles. Redlands, CA, ESRI Press, 2002.

Open Geospatial Consortium, OGC® KML, Open Geospatial Consortium Inc., 2008.

Peter Morville, Ambient Findability, Yuna 역, 『검색2.0 발견의 진화』, 한빛미디어, 2006.


Daum Map API http://dna.daum.net/apis/maps

Earth Science & Map Library http://www.lib.berkeley.edu/EART/

Electronic Cultural Atlas Initiative http://www.ecai.org/

Google Earth API http://code.google.com/intl/ko/apis/earth/

Google Maps API http://code.google.com/intl/ko/apis/maps/

KML http://code.google.com/intl/ko/apis/kml/

Naver Map API http://dev.naver.com/openapi/apis/map/

국토지리정보원 http://www.ngi.go.kr/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시스템 http://www.atlaskorea.org/historymap/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http://www.kosis.go.kr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tp://www.grandculture.net/



[국문 초록]

 

  지방의 문화 자원을 소재로 하는 지역 문화 콘텐츠는 일정한 범위의 지리적 공간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그 공간적 개념들을 지리적 위치로 구체화하고, 그것을 지도 도면 상에서 찾을 수 있게 하는 것은 내용 찾기의 편리성을 증대시키는 것뿐 아니라, 그 지식 정보의 공간성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게 함으로써 내용을 보다 충실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최근 들어 디지털 콘텐츠 제작자가 자신의 저작물을 위해 전자지도 데이터를 특별히 구매하거나 제작하지 않아도, 인터넷 포털이 제공하는 전자지도 서비스를 통하여 고품질의 온라인 전자지도를 자신의 디지털 콘텐츠 상에서 연결해서 서비스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

  이 연구는 한국의 지역 문화를 연구하는 사람들이 그와 같은 기술 환경 하에서 지역문화 지식 콘텐츠와 지리정보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연계․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영문 초록]

GIS Application Technology for Local Culture Studies


     The Encyclopedia of Korean Local Culture, as its name clearly suggests, is a collection of cultural knowledge classified according to each region of Korea. A close connection between the geographical region and the cultural content is inevitable. Locating the region that is related to a piece of local cultural information on a map not only serves as an effective searching method, but also helps the profound understanding of the given information by visually solidifying the related regional concept.

     Recently a creator of any digital content on the web is able to link his content with existing on-line electronic map, without needing to purchase or develop on his own electronic map data. With help of such technological advancement, very useful activities such as marking an individual's point of interest(POI) on the electronic map, or realizing the integration of the local culture knowledge and its geographical visualization through the map, becomes possible through minor efforts such as calling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ce) functions provided by major portal services.

     Following study targets the researchers who study Korean local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geographiy, in an attempt to present them with an effective way to integrate local culture content with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  이 논문은 제4회 세계한국학대회(2008. 9. 서울)에서  발표한 「지리정보 시스템과 지역 문화 지식 자원의 연계 응용 기술」을 기반으로, 후속 연구 성과를 보완하여 완성한 것이다.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 교수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센터 인문정보학연구실 연구원


1) 우리나라의 자동차 네비게이션 시장 규모

(단위: 백만 원)

연도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9월 현재)

시장규모

(추정치)

60,000

220,000

800,000

1,300,000

2,000,000

2,000,000

1,580,000

 출처 : 엠앤소프트 경영기획팀 보도자료


2) 공간 정보 등록부의 개념과 활용 목적의 제시 및 데이터 구조의 최초 설계는 아래의 연구를 통해 수행하였다.

   김현, 「전자문화지도 개발을 위한 정보편찬 기술」, 『인문콘텐츠 제4호』, 인문콘텐츠학회, 2004. 12.


3) 공간 정보 등록부의 현행 데이터 구조는 전게 논문에서 제시한 최초 모델을 구현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조정․보완한 것이다. 이 구조의 공간 정보 등록부는 2004년 「디지털 성남문화대전」의 편찬에서부터 적용하여 2009년 상반기까지 20개 지역의 전자지도 서비스 시스템 구현에 활용되었으며, 18,000여 개의 공간 정보 객체를 집적하였다.


4) 앞의 논문 pp. 70-71 참조


5) GML: The Geography Markup Language.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에서 정의한 XML 기반의 지리 정보 기술 언어.


6) 공간 정보 등록부(v 2.0)은 XML DB 기반으로 구현함으로써 엔티티의 속성 내에 XML 문으로 하위 요소를 기술할 수 있도록 하였다.


7)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는 햔국향토문화전자대전 편찬 사업 외에도 한국학자료센터 구축 사업, 민족문화대백과사전 편찬 사업, 역대인물종합정보 편찬사업 등에서 전자지도 서비스를 위한 공간 정보 등록부를 구축 운영하고 있다. 프로젝트에 따라 공간 정보 객체에 부여하는 의미가 다르기 때문에 현재까지는 프로젝트별 유형 분류 체계를 쓰도록 하고 있다. 향후 축적된 결과를 종합하여 보편적인 공간 정보 객체 유형 분류 체계를 제안할 예정이다.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편찬 사업의 경우 18개지역(2008년 말까지 개발 완료한 지역) 15,550개의 공간 정보 객체 유형을 분석하여 만든 2단계 분류표를 2009년부터 사용하고 있다.


8) KML: Keyhole Markup Language의 약어. GoogleTM 사의 Google MapsTM, Google EarthTM. 등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XML 기반의 3차원 지리 공간 데이터의 기술 언어. KML에 관한 공식 문서는  ‘http://code.google.com/apis/kml/documentation/’에서 제공받을 수 있다.


9) 지도에 표시할 영역의 넓이는 이용자에게 제공할 지도의 축척에 따라 달라진다.


10) ‘관심 지점 목록’은 전자지도 한 화면 위에 표시될 여러 개의 공간 정보 속성 목록이다. 다음은 Google EarthTM 상에서 복수의 관심 지점을 표시하기 위해 KML 파일 형태로 생성한 목록의 예시이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POIList>

  <POI id="논산:KT 논산지점" label="KT 논산지점" x="127.0813" y="36.19753" />

  <POI id="논산:가곡리" label="가곡리" x="127.1099" y="36.30209" />

  <POI id="논산:가곡리 분지" label="가곡리 분지" x="127.1429" y="36.2813" />

  <POI id="논산:가야곡면" label="가야곡면" x="127.1591" y="36.13583" />

  <POI id="논산:가야곡산업단지" label="가야곡산업단지" x="127.1422" y="36.12993" />

  <POI id="논산:가야곡왕주" label="가야곡왕주" x="127.1635" y="36.1357" />

  <POI id="논산:가야곡중학교" label="가야곡중학교" x="127.1683" y="36.14352" />

  <POI id="논산:가야곡초등학교" label="가야곡초등학교" x="127.1685" y="36.14389" />

  <POI id="논산:가잿골" label="가잿골" x="127.0955" y="36.30868" />

  <POI id="논산:가평이씨 묘역" label="가평이씨 묘역" x="127.2116" y="36.21265" />

  <POI id="논산:갈산리" label="갈산리" x="127.0691" y="36.22036" />

  <POI id="논산:갈산리 곰솔" label="갈산리 곰솔" x="127.0568" y="36.22938" />

  <POI id="논산:감곡리" label="감곡리" x="127.166" y="36.20911" />

  <POI id="논산:감곡초등학교" label="감곡초등학교" x="127.1603" y="36.21029" />

  <POI id="논산:갑천" label="갑천" x="127.2643" y="36.19804" />

  <POI id="논산:갓점사지" label="갓점사지" x="127.2419" y="36.14378" />

  <POI id="논산:강경" label="강경" x="127.0171" y="36.15899" />

</POIList>


  - id : 사용자 상호작용, 콘텐츠 연계에 필요한 공간 개체 식별자(Spatial Object Identifier)

  - label : 지도 위에 표시할 관심지점의 이름(Display Name)

  - x : 관심 지점의 경도 좌표

  - y : 관심 지점의 위도 좌표


11) 전자지도 API의 프로그래밍 모델이 대부분 비동기 방식이므로 실제 전자문화지도를 구현할 때 프로그램 코드 내의 순서는 위의 프로세스에서 제시한 순서와 다를 수 있다.


12) 플래시 API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JavaScript가 아닌 ActionScript를 사용한다.


13) 김현 외, 『지역 문화와 디지털 콘텐츠』(북코리아, 2008. 7.) p. 314